Oracle SQL , 'POS' Program Database Project Structure


How to build up the database to make
 a pos program by using SQL 
in the Oracle system.  

Step 1)  The client will insert an access code like (Owner code, Store code, or Secrete code).  Step 2) The server will take 1st validation test by using of DML language (Select). At the moment main validation target keys are "Owner code(OW_CODE), Store code(SR_CODE)".  Step 3) Once 1st validation test is confirmed, the server starts the next 2nd validation test by using of Secret code(SR_Secretcode) and Owner code(OW_code).  Step 4) Goes through 1st & the 2nd validation test via the server, a database allows login confirmation temporarily.   Step5)  DML language for "Insert" will be used to save a LOG history in the database  Step 6)  By using "inner join", combine several different data inserted by the client to provide access to the main session. but the main session must include the owner code, and store code because they are the obligatory protocol code for the client to access to the pos system.  Step 7)   The combined data with inner joined will provide a dashboard to the client with owner code, store code, location information, phone number, etc. the information on the dashboard will be variable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system.



Step 1) 
The client will insert a unique protocol code (An owner code, a Store code, or Secrete code) to access to the pos system.

클라이언트는 포스 시스템이 접근하기 위해서 프로토콜(시크릿)코드를 입력해야 한다. 이때 사용 되는 코드는 오너 코드, 매장코드, 그리고 매장 주인의 고유 비밀번호 이다. 

Step 2)
The server will take 1st validation test by using of DML language (Select). At the moment main validation target keys are "Owner code(OW_CODE), Store code(SR_CODE)". The main purpose of a validation test is to confirm there is actually the owner has the protocol code. 

클라이언트가 입력한 프로토콜 코드의 유효성을 검사하기 위해 DML 언어 중 하나인 Select 를 화아용해, 서버는 첫번째 유효성 검사를 시행한다. 이때, 유효성 검사의 키는 오너코드와 매장 코드이다. 첫번째 유효성 검사의 주 목적은 입력한 두 키 프로토콜을 지닌 실제 유저가 존재하는 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Step 3)
Once 1st validation test is confirmed, the server starts the next 2nd validation test by using of Secret code(SR_Secretcode) and Owner code(OW_code). Also, the main purpose of the 2nd validation test is to confirm there is actually the owner has the protocol code. 

우선, 첫 유효성 검사가 확인되면 서버는 잇다른 두번째 유효성 검사를 진행한다. 이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비밀번호와 오너코드 이다. 이때 두번째 유효성 검사를 진행하는 이유는 실제로 두 키 프로토콜 코드를 지닌 유저를 다시 한 번 확인하기 위함이다. 

Step 4)
Goes through 1st & the 2nd validation test via the server, a database allows login confirmation temporarily.

서버가 첫번째와 두번째 유효성 검사를 잇따라 진행한 다음, 데이터 베이스는 임시적으로 로그인을 인정하고 접근을 허용한다. 

Step5) 
DML language for "Insert" will be used to save a LOG history in the database at the same time. which means the login history is saved on the database. 

동시에, DML 언어인 'Insert' 를 사용함으로서 데이터베이스에 로그 기록이 저장된다. 사용자의 로그인이 데이터에 저장된 것이다. 


Step 6) 
By using "inner join", combine several different data which are inserted by the client to provide access to the main session. but the main session must include the owner code, and store code because they are the obligatory protocol code for the client to access to the pos system.

오라클 SQL 의 Innerjoin 기법을 사용함으로서, 클라이언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는취합하게 된다. 이는 클라이언트에게 주요 로그인 세션을 제공하게 된다. 하지만 메인 세션은 반드시 가장 처음 유효성 검사를 위해 기입한 오너코드와 매장코드를 포함해야만 한다. 

Step 7) 
The combined data with inner joined will provide a dashboard to the client with owner code, store code, location information, phone number, etc. the information on the dashboard will be variable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system.  

역시, Inner join으로 취합된 데이터는 오너코드, 매장코드, 장소, 전화 번호 등을 담은 정보를 바탕으로 데쉬보드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때, 제공할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목적에 따라 오픈할 데이터 베이스가 결정되게 된다. 



Comments